서울 시민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밤섬 ) 20111206 (1) 밤섬의 위치 및 현황 1) 위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서강대교에 걸쳐 있는 하중도이다. 2) 밤섬의 명칭; 섬 모양이 밤처럼 생겨서 밤섬[栗島]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3) 면적; 현재 241,490 제곱미터, 해발고도는 3.0~5.5m 현재 퇴적물에 의해 섬의 면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홍..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2.13
서울 시민대학 - 한강역사 및 생태 탐방 (서강나루, 토정 이지함 생가터, 삼개포구, 마포전차 종점)20111129 (1) 마포 ; 마포는 항구였다. 마포의 본디말은 '삼개'인데 삼개는 섬개를 말한다. 섬개는 '섬이 있는 갯벌'이라는 뜻이다. 한강에서 유독 이 지역에 섬이 많아 - 여의도, 노들섬, 선유도, 밤섬 -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추측된 다. (2) 마포종점 ; 마포는 전차의 종점이었다. 1899년 처..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2.05
서울 시민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절두산 성지, 망원정) 20111122 (1) 양화진(楊花津) ; 한양 3진( 송파진,한강진, 양화진)중 하나인 양화진은 망나니들이 사형을 집행하던 곳이다. 버드나무 꽃이 흐드러지게 피던 절승지인데 망나니들이 사형을 집행하던 곳이기도 하다. (2) 절두산 성지 ; 누에머리 모양을 한 산봉우리가 절경과 조화를 이루는 잠두..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1.29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탐방) 20111115 (1) 조성시기; 1997년 여의도에 최초로 조성된 생태공원이다. (2) 생태 공원의 의의; 기존의 공원과 달리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생태계 질서에 의해 생물종 다양성을 유지하며 스스로 변화, 발전할 수 있는 자 연 순환체계를 형성하는 공간이다. (3) 주요시설; 계류시설과 생..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1.21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허준박물관 ) 20111108 (1) 허준 연표 ; 1539년 경기도 양천현 파릉리( 현, 서울 강서구)에서 허론의 서자로 출생. 1569년 유희춘이 내의원에 천거. 1575~1596년까지 선조와 광해군 진료. 1596년 동의보감 (25권 25책) 편찬 시작, 1610년 완성. 1615년 작고.( 묘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 ->역사적 사실과 다른 소설과 드..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1.14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잠실 수중보 ) 20111101 (1) 한강에 사는 물고기; 77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유어종 - 각시붕어, 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참중고기, 중고기, 몰개, 긴몰개, 됭경모치 참갈겨니, 얼룩동사리 천연기념물 - 황쏘가리 서울시 보호종 - 됭경모치, 강주걱양태, 꺽저이, 황복 우점종의 변화 - 누치>..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1.08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아차산성) 20111025 (1) 아차산성이 만들어진 시대;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달리 고구려 시대에 만들어진 산성이다. (2) 아차산성의 축성방식; 산 능선의 윗부분을 약 1km 넘게 돌아가면서 돌로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성 안에 작은 계곡도 있어 포곡식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복합식 산성이라고도 ..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0.31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석촌동 고분군) 20111018 (1) 석촌동 고분; 한성 백제 왕릉군으로 추정. 가락동와 방이동 일대에도 고분군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근처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한성백제 왕성이었을 것으로 보아 한성 백제 고분군으로 파악. 한강의 돌이 아니라 남한산의 돌을 날라다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2) 3호분; 4C 한성 백제의 고분으..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0.25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암사동 선사유적지 ) 20111011 (1) 발견시기; 1925년 대홍수로 발견되었다. (2) 어느 시기의 유적인가; 기원전 5000년 전 유적으로 추정 (3) 규모;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보이며 단일 규모로는 최대 (4) 암사동 유적 문화의 특징 ; 최하층 - 전형적인 빗살무늬토기 중간층 - 무문계 빗살무늬토기 최상층 - 백제시대 문화층으로 합구식 옹관묘..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0.18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풍납토성 탐방 ) 20111004 (1) 풍납토성의 축성시기; 기원 전 2C ~ 기원 후 3C (2) 풍납토성의 규모; 길이 3.5km, 높이가 9~15m, 폭이 40m에 이른다. 하지만 현재는 도시 개발 등으로 2km 정도만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3) 풍납토성의 축성법 ; 판축법으로 이루어졌다. 성 주위에는 환호를 만들어 외적의 침입에 대비했다. (4) 풍납토성의 역.. 배우고 때로 익히며 2011.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