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고 때로 익히며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풍납토성 탐방 ) 20111004

솔뫼들 2011. 10. 11. 00:11
728x90

  (1) 풍납토성의 축성시기; 기원 전 2C ~ 기원 후 3C

 

  (2) 풍납토성의 규모; 길이 3.5km, 높이가 9~15m, 폭이 40m에 이른다.

                              하지만 현재는 도시 개발 등으로 2km 정도만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3) 풍납토성의 축성법 ; 판축법으로 이루어졌다.

                                  성 주위에는 환호를 만들어 외적의 침입에 대비했다.

 

 (4) 풍납토성의 역사적 의의 ; 500년간 지속된 한성 백제의 왕도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성백제 (위례성)> 웅진백제 > 사비백제

                                          cf) 다산 정약용 '아방강역고'에서 남한산성을 위례성으로 추측했음.

 

 (5) 풍납토성의 발견 ' 1925년 대홍수로 인하여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청동초두와 말 머리뼈, 기와 등이 발견되었다.

                               현재 성 기준으로 지하 4m 아래에서 유적이 발견되는데 이는 황사가 쌓여 생긴 현상

                               이고, 그 당시는 지금의 지하 4m 아래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판 폼페이'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