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발견시기; 1925년 대홍수로 발견되었다.
(2) 어느 시기의 유적인가; 기원전 5000년 전 유적으로 추정
(3) 규모;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보이며 단일 규모로는 최대
(4) 암사동 유적 문화의 특징 ; 최하층 - 전형적인 빗살무늬토기
중간층 - 무문계 빗살무늬토기
최상층 - 백제시대 문화층으로 합구식 옹관묘
(5) 주거형태; 움집(수혈주거지) -보온을 위해 땅을 깊게 파고 원형에 가까운 네모형으로 만들었다.
지붕의 중앙이 뚫려 있고, 남쪽으로 문이 있는 형태
움집의 가운데 화덕을 중심으로 가족들이 모여 생활했다.
(5) 식생활 ; 초기 농경시대이므로 사냥, 고기잡이(낚시, 작살, 어망), 식물채집이 농사와 함께 이루어졌다.
(6) 의생활 ; 동물의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7) 유적에서 출토된 것 ; 화살촉, 그물추, 괭이,돌낫, 보습 등의 도구
토기- 음식을 보관하고 익혀 먹을 수 있게 한다.
(8) 분묘 형태; 고구려,백제 - 횡렬식 무덤방
신라,가야 - 수혈식 무덤방
'배우고 때로 익히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아차산성) 20111025 (0) | 2011.10.31 |
---|---|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석촌동 고분군) 20111018 (0) | 2011.10.25 |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 풍납토성 탐방 ) 20111004 (0) | 2011.10.11 |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요트 체험) 20110927 (0) | 2011.10.03 |
서울 시민 대학 - 한강 역사 및 생태 탐방 20110920 (0) | 201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