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종묘
(1)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사당이다.
조선은 유교 농업 국가였기 때문에 종묘 사직이 중요하다.
↘ 통치이념
그러므로 종묘는 왕조와 생명을 같이 한다.
장엄하고 단순한 미를 보여 준다.
宗廟 = 太廟
- 하늘 - 원구단
- 땅 - 사직단
- 조상 - 조상
(2) 세계 문화유산 지정(1995년)
1) 동아시아 유교 문화의 전범
2) 조선식 종묘- 중국 것을 받아들였으나 조선식으로 변화했으므로 문화적 흡수력
3) 종합예술 ( 종묘대제- 의례, 음악, 노래, 춤) - 종묘대제는 1년에 5번 거행했음.( 춘, 하, 추, 동 , 납량일
= 세모)
(3) 종묘의 건물
1) 정전; 우리나라 最長의 목조건물로 불천지주를 모심.
2) 영녕전 ; 조천
→ 추존제의 중요성(왕에서 왕으로 이어지기 위해 필요하나 조선 후기 추존제가 무너진다.)
(4) 공민왕 사당이 있는 이유
1) 태조 이성계가 자신을 기용해준 이에 대한 報恩, 君臣간의 예의 차원
2) 고려인에 대한 회유 차원
(5) 국조오례
1) 吉(종묘), 凶(국장), 軍, 가, 賓(국빈)
2) 丑時에 거행
'배우고 때로 익히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시민 대학 - 서울의 명소 순례 ( 선릉, 정릉 ) 20121011 (0) | 2012.10.18 |
---|---|
서울 시민 대학 -서울의 명소 순례 ( 이 땅의 고대 문화와 역사) 20121004 (0) | 2012.10.11 |
서울 시민 대학 - 서울의 명소 순례( 이 땅의 선사 문화) 20120920 (0) | 2012.09.27 |
서울 시민 대학 - 서울의 명소 순례 (경복궁 답사) 20120913 (0) | 2012.09.20 |
서울 시민 대학 - 서울의 명소 순례 (총론) 20120906 (0) | 2012.09.16 |